-
[일본 증권계좌 개설] 라쿠텐 증권 계좌 개설하기TOKYO 2017 - 2019/일본 살이 Tip 2019. 6. 21. 14:00
일본에서 주식하기 : 증권계좌 개설
개설 동기
직장인 생활 만 2년이 채 안된 저는 아직 재테크 초보지만, 그래도 상여금 정도는 증권계좌에 넣어두고 굴리고 있답니다. 한국 증권계좌로 굴리는데, 미국 증시와 일본 시장에도 쪼개서 투자하고 있어요. 그런데 문득, 내가 일본에 살고 있는데 굳이 수수료를 내가면서 한국 회사를 통해서 일본 주식을 사야 하나? 내가 직접 사는 게 더 낫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래서 내친김에 증권 계좌를 개설했어요. 구글링으로 증권사 비교한 결과, 수수료 면에서 이익이고 외국인이 만들기 편리한 라쿠텐 증권을 선택했습니다.
개설 흐름
1. 준비물
본인 확인 서류,
마이 넘버 카드(통지 카드 사용 가능)
2. 라쿠텐 증권 접속
라쿠텐 증권에 접속해주세요.
그리고 오른쪽 화면 중앙부의 구좌개설(口座開設) 버튼을 클릭합니다.
라쿠텐 회원인지, 회원이 아닌지 선택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이미 회원가입을 해두신 분은 위의 버튼을 클릭하여 진행합니다.
그러면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그런데 주의할 점은, 名前를 입력할 때, 성과 이름이 합쳐서 8자를 넘어서는 안 됩니다. 그런데 외국인 재류 등록이 영어 이름인 사람은 대부분 8자를 넘잖아요? 라쿠텐 증권 측과 직접 전화로 확인한 결과, 8자가 넘어간다면 뒷부분 알파벳은 지워도 괜찮다고 합니다. 나중에 본인 신분증명 서류를 업로드하면, 그 서류로 회사 측에서 재확인하여 서버에 입력하기 때문에 일단 여기서는 글자 수 제한을 맞춰주세요.
뒤의 Heum은 지우고 8자 제한에 맞춰서 입력했습니다.
주소 입력도 올바르게 진행해주세요. 가타카나도 16글자 제한이 있네요.
다음은 선택 서비스 신청입니다.
- 라쿠텐 은행 구좌 개설
- 개인형 연금 가입
- 외국환 거래 가능한 구좌 신청
- 신용거래 구좌 신청
순입니다.
저는 모두 신청하지 않음(申し込まない)으로 체크했습니다.
(*라쿠텐 은행 구좌는 이체 수수료가 무료이므로 하나 만들어 두면 좋습니다. 저는 이미 가지고 있어서 배제했습니다)
다음은 주식 거래 시 발생하는 수익금의 납세 방법 선택란입니다. 오스스메라고 쓰여있는 첫 번째를 선택하면, 증권사 측에서 확정신고를 도맡아 해 준다는 것 같네요. 딱히 제가 직접 할 이유도 없어서, 오스스메인 '대행 납부'를 선택합니다!
다음은 NISA 구좌 선택란입니다. NISA 구좌는, 1인 1구좌 개설가능한 증권계좌로 세제 혜택이 있으며, 개설은 무료입니다. 저는 기존에 가지고 있는 NISA계좌가 없으므로, 신청합니다.
NISA 계좌는 일반형(NISA)과 적립형(つみたてNISA)이 있는데, 적립형의 경우 20년동안 연간 40만엔의 거래금액에 대해 비과세가 되며, 일반형의 경우 4년간 매년 120만엔의 거래금액에 대해 비과세가 됩니다. (* 신청 당시에는 적립형으로 개설했는데, 나중에 일반형(NISA)로 변경하였습니다. 체류기간, 투자금액 등에 따라 본인에게 맞는 니사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3. 본인 확인 서류 업로드
개인정보 입력이 끝나면, 신분 증명서를 업로드 할 차례입니다. 컴퓨터, 스마트폰중 선택하여 업로드가 가능하며, 우편으로 발송을 선택할수도 있습니다. 신분 증명서는 다음 중의 서류만 사용 가능합니다. 저는 재류카드를 선택하여, 앞면 뒷면을 각각 찍어서 업로드 하였습니다.
- 운전 면허증 【표 / 뒷면]
- 주민 표 사본
- 인감 등록 증명서
- 각종 건강 보험증 [표 / 뒷면]
- 주민 기본 대장 카드
- 여권 (일본)
※ 「얼굴 사진 첨부 페이지 '와'소지인 기입란 (주소 기재 있음) 페이지 "의 2 개소 - 재류 카드 / 특별 영주자 증명서 【표 / 뒷면]
- 개인 번호 (내 번호) 카드
※ 알림 카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인 확인 서류 업로드까지 끝나면, 이제 기다리는 일만 남았습니다.
4. 유선확인 > 우편 수령 > 온라인 등록
이름에 문제가 없을 경우 바로 통과되지만, 등록 이름과 본인확인서류의 이름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라쿠텐 증권에서 확인 전화가 옵니다. 형식적인 확인 전화이니, 서류상의 이름이 진짜 이름입니다...정도만 전달하면 됩니다.
그리고 일주일 정도 기다리면, 집으로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적힌 우편이 도착합니다~!
큐알코드를 스캔해서, 서류시 요구하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로그인하세요. 로그인 하면 패스워드를 재설정하게 됩니다.
서류 하단에는 증권 계좌번호도 기재되어있습니다. 시드머니를 채울 계좌입니다..ㅎ
이 서류는 버리지 말고 잘 보관해 두세요.
5. 트레이딩 시작
전용 증권앱인 iSPEED를 다운받으세요! 이제 바로 주식 트레이딩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O^
한국과 다르게 일본 주식은 100주부터만 거래가 가능합니다. 신중히 굴려보아요~
2019년 7월 25일
거래하며 알게 된 사실을 추가합니다.
- NISA 계좌를 10월 1일 이후에 개설할 경우, 그 다음 해 1월 1일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NISA 계좌를 사용할 수 있게되기 전까지는 일반 계좌를 사용할 수 밖에 없으며 이 때 일반 소득세 세율이 적용되어, 양도수익과 배당수익에 각각 20.3%가 징수됩니다. 소득세이므로 손절거래에는 징수되지 않습니다. 증권사에서 자동으로 납부처리해주는 구좌로 거래시 자동으로 납부됩니다. 따라서 시세차익 10만엔의 거래가 성사되어도, 계좌에는 8만엔만 꽂히게 됩니다. (*한국의 경우 양도수익세는 없고, 장내 거래시, 총 거래금액의 0.3%의 부가세가 징수됩니다. 배당수익세는 15.4%가 징수됩니다.)
- NISA의 소득세 공제는 거래금액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단타목적의 구매는 일반 계좌를 이용하고, 고수익이 예상되는 종목은 NISA 계좌로 구매하는 편이 좋다는 게 제 사견입니다.
기타 일본 포스팅
2019/06/28 - [TOKYO 2017 - 2019/일본 살이 Tip] - 일본 3년차, 주민세가 날라왔다! 주민세 계산 & 부양공제액 & 지역별 세율 [2019 최신판]
일본 3년차, 주민세가 날라왔다! 주민세 계산 & 부양공제액 & 지역별 세율 [2019 최신판]
6월의 마지막 주, 드디어 나에게도 주민세 통지서가 날아들었다. 일본에서는 전년도의 수입을 기준으로 해서, 다음 해 6월부터 주민세라는 지역 세금을 납부하게 된다. 전년도 수입이 천만 원(백
gem1n1.tistory.com
2020/01/08 - [TOKYO 2017 - 2019/일본 살이 Tip] - [일본 완전 귀국] 일본생활 정리 매뉴얼 최신판 (2020)
[일본 완전 귀국] 일본생활 정리 매뉴얼 최신판 (2020)
목차 1. 집 렌트 계약 해지 2. 인터넷 해약 신청 3. 가구 처분 (중고 판매 & 메루카리) 4. 쓰레기 처리 5. 핸드폰 해약 신청 6. 신용카드 정리 & 해약 신청 7. 귀국 비행기 예약 8. 은행/증권 계좌 정리 9.
gem1n1.tistory.com
'TOKYO 2017 - 2019 > 일본 살이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3년차, 주민세가 날라왔다! 주민세 계산 & 부양공제액 & 지역별 세율 [2019 최신판] (3) 2019.06.28 일본 스타벅스 주문 팁, 현지 인기 커스텀 음료 추천! (0) 2019.06.27 [일본에서 택배 보내기] 야후 클릭포스트로 추적가능 택배보내기 (0) 2019.06.20 [무지 카레 리뷰] 카레맛집(?) 일본 무인양품 카레 리뷰/인기 순위 (0) 2019.06.18 일본에서 신용카드 만들기, 카드사 별 비교 정리 (2019) (0) 2019.06.02